[House Check List]
제가 군생활 할 때 존경하던 대대장님께서 정리해 두신 자료와 제 자료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집 고르실 때 유용한 정보 되시길..
추가할 사항 있으시면 댓글로 추가해 주세요..^^;;
1. 문틀과 문짝/ 창문 창틀은 제대로 여닫히는지
- 삐걱거리는 소리는 WD-40라는 윤활류를 사서 뿌려주시길
2. 도장(칠)은 제대로 되었는지
- 사람이 거주할 곳이라면 친환경 페인트를 권합니다
3. 도배가 잘못돼 들뜨지는 않는지, 마무리 부분이 제대로 붙었는지
- 보통 뜨는 부분은 습기가 많아서 곰팡이도 함께 생긴답니다
4. 타일은 깨진 부분이 없는지
- 타일은 두들겨 보아서 안에 빈 소리가 나면 쉽게 떨어질 수 있는 타일입니다.
5. 조명기구의 점등과 소등, 부착 및 파손여부
- 세입자라면 조도가 밝은 등으로 교체하시길 권장합니다.
- 오래된 점등기구(특히 형광등) 소켓은 직접 확인하시길 : 오래된 플라스틱은 쉽게 깨져 사고의 원인이 됨
6. 세대전반 전원 차단기 on-Off동작상태
- 빨간 버튼을 눌러보시면 됩니다
7, 비디오폰 설치상태 및 화면이상 여부
8, 온도 조절기 작동상태
9. 아파트의 구조내부 위치별로 현관문 앞 복도의 물구배 여부
- 물을 부어보시면 될 듯
10. 현관문 도어록 작동 및 동작, 도색 상태
- 번호로 된 도어록은 화재사고시 잘 안 열리는 위험이 있으므로 참조하시길
11. 신발장 개폐 및 뒤틀림 여부
- 나무는 오래되면 쉽게 뒤틀려서 문이 안 맞게 됩니다
- 싱크대/가구용 경첩을 사셔서 쉽게 다시 고칠 수 있습니다
12. 거실의 경우 바닥 이음부위 및 모서리 접착상태
13. 반자돌림 걸레받이 재료분리대 설치여부
- 싸고 기능좋은 걸레받이가 많습니다. 없다면 꼭 설치하시길
14. 각 방 바닥면 요철여부 및 도배장판 접착상태
- 바닥의 조그만 요철에도 불편합니다. 작더라도 반드시 개선하시길
- 장판의 경우는 장판용 본드를 사서 붙이면 됨
15. 곰팡이가 있는지
- 곰팡이가 있는 경우 단열 누수 위생의 문제가 수반되므로 반드시 확인하시길
- 특히 곰팡이를 가리기 위해서 새로 도배한 경우를 조심하시길
손과 눈으로 꼭 확인해봐야 할 부분입니다.
주방의 경우
1. 싱크대 문짝의 개폐상태 및 뒤틀림 여부.
2. 벽타일의 파손, 들뜸, 탈락여부
3. 가스렌지 작동상태 및 후드 작동여부
4. 수도꼭지 설치상태 및 누수여부
화장실의 경우
1. 양변기, 세면기, 욕조등의 파손과 누수여부
2. 거울, 수건걸이, 휴지걸이의 부착상태
3. 바닥타일 파손 및 배수나 구배(바닥의 경사도)상태
발코니의 경우
1. 난간대의 고정상태
2. 선홈통의 탈락여부
3. 벽. 천장면 도장의 마감상태와 누수나 균열여부
가스 난방시설의 경우
1. 각방에 전기가 잘 들어오는지 확인.
2. 소화장치 화재경보 난방장치 성능 확인 후 부족한 경우 교환이나 재시공 요구
또한 이사하실때 가지고 올 커덴, 가구.가전제품의 배치위치를 미리 정하고 공간 사이즈를 정확히 측정해서 두번일이 없도록 사전 점검시 미리 챙겨봐야 합니다.
주택공사나 민간건설사를 막론하고 대부분 건설사들이 내부벅으로 입주 직전(보통 3일 전) "보수 확인점검"을 하지만 아무래도 수요자가 원하는 정도에 못 미치기 쉬우므로 입주전 공사중에라도 본인 신분증을 제시하고 현장을 보고싶다면 내부 출입을 허용합니다.
위의 사항를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이를 근거로 체크해 보시면 별다른 차질없이 기분좋은 이사를 하실수 있을겁니다.
- 현관문 : 내부도장 및 현관문의 개폐상태, 그리고 시건장치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
- 현관바닥과 베란다, 창고, 다용도실 : 바닥공사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 물이 배수구
쪽으로 잘 빠지는 지 확인해야 하며 바닥이나 난간에 균열이 없는지 꼼꼼이 점검.
- 거실, 실내벽, 방바닥, 천장 : 굴곡이나 균열이 없는지 그리고 장판이나 벽지에 흠집
혹은 곰팡이, 습기, 누수된 곳은 없는지 확인
- 전기시설 : 현관벽면의 자동차단기, 적산전력계, 콘센트 전압, 현관등 타임스위치, 텔레
비전 공동안테나, 전화 인터퐅 연결여부, 모니터 및 감지기등의 작동여부를 확인.
또한 전산전력계의 사용량을 관리소에 확인시켜야합니다.
- 가스설비 : 가스파이프 및 연결부위가 새지 않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주방기구 : 싱크대와 벽찬장의 시공이 깨끗이 마무리 되었는지, 물이 잘 빠지는지, 수도
꼭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 위생기구 : 균열, 배수, 방수처리 여부를 꽁꼼히 점검합니다. 욕실의 환기여부를 확인
하며 바닥의 물이 배수구로 잘 빠지는지 확인
- 급수설비 : 물이 잘 나오는지 그리고 양수기함의 보온여부나 동파여부를 확인하며, 모
든 수도꼭지를 잠그고 나서 수도계량기가 돌아가는지 확인해봅니다. 또한 입주할 때
시공회사 가 부담해야 할 사용량은 관리소에 확인시켜 손해 보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 소화설비 : 소화전함에 분말소화기가 설치되어 있는지, 호스와 수도전 등 부수기구들
은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
- 열량계와 온도조절기 : 난방온도조절기와 열량계의 눈금이 제대로 작동 하는지를
최대수 치와 최소 수치별로 시험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