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점오염원이란? | ||||||
|
비점오염원 관리의 필요성 | ||||
| ||||
비점오염원 설치신고제도란? | ||||
|
개발사업 |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시행령 별표1 제1호 가목부터 더목에 해당하는 사업 | |
도시의 개발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의 조성 에너지 개발 항만의 건설, 도로의 건설, 수자원의 개발 철도(도시철도포함)의 건설, 공항의 건설 하천의 이용 및 개발, 개간 및 공유수면의 매립 관광단지의 개발 |
산지의 개발 특정지역의 개발 체육시설의 설치 폐기물처리시설,분뇨처리시설의 설치 및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의 설치 국방,군사 시설의 설치 토석.모래.자갈.광물 등의 채취 | |
사업장 | 폐수배출시설을 설치하는 다음 사업장 중 부지면적 1만 ㎡ 이상인 사업장 | |
제철시설, 섬유염색시설 석탄,원유 및 우라늄광업 비금속광물, 광업 음,식료품 제조업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펄프,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 |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제1차 금속산업, 전기,가스 및 증기업 도매업 및 상품 중개업 하수처리업, 폐기물처리업 및 청소관련 서비스업 |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시기 | ||||||
|
1. | 공사 중 발생하는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공사개시 2일전 |
2. | 공사완료 후 그 개발사업등으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공사준공시 |
오염원 처리방식에 따라 자연형시설과 장치형시설로 구분 | ||||||
|
- 저류지: 강우유출수를 저류하여 침전등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시설로 자연형저류지와, 지하저류지등이 있음.
- 인공습지: 침전 · 여과 · 흡착 · 미생물 분해, 식생 식물에 의한 정화 등 자연상태의 습지가 보유하고 있는 정화능력을 인위적으로 향상시켜 비점 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시설.
- 침투시설: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 · 흡착 작용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시설로 유공포장, 투수성포장, 침투조, 침투저류지, 침투도랑 등을 포함.
- 식생형 시설: 토양의 여과 · 흡착 및 식물의 흡착작용으로 비점오염 물질을 저감함과 동시에, 동 · 식물 서식공간을 제공하면서 녹지경과으로 기능하는 시설을 말하며, 식생여과대, 식생수로 등이 있음
여과형시설: 강우유출수를 집수조 등에서 찻집한 후 모래, 토양 등의 여과재를 통해 여과하여 비점오염물질을저감하는 시설
- 와류형시설: 중앙회전로의 움직임으로 와류가 형성되어 기름 · 그리스등 부유성 물질은 상부로 부상시키고, 협잡물은 하부로 침전 · 분리시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시설
- 스크린형 시설: 망의 여과 · 분리 작용으로 비교적 큰 부유물이나 쓰레기 등을 제거하는 시설로서 주로 전처리에
![]() | |
|
![]() |
![]() | |
저류시설 |
1.강우유출수의 수질과 수량 모두를 조절 |
1. 비교적 대규모의 토지를 필요로 함 2. 용존성 오염물질은 제거효율 저조 3. 침전물이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대규모 강우 후 침전물 재부상 우려 4. 침전물 제거(준설)에 비교적 높은 비용소요 5. 부적절하게 관리하면 냄새, 모기 등을 유발 |
인공습지 |
1. 고형물질 외에 용존성 오염물질 제거 가능 2. 미관적으로 쾌적한 경관 제공 3. 지역의 자산적, 효용적 가치 증가 |
1. 비교적 대규모의 토지를 필요로 함 2. 침전물 제거 등 준설이 필요 3. 풀 깎기, 식종, 잡쓰레기 제거 등의 관리가 필요 |
침투저류지 |
1. 지역의 홍수피크를 감소 2. 관리빈도가 비교적 적은 편임 3. 저류용량만큼의 비점오염저감효과 확보가능 |
1. 토질조사 등의 기초현황조사가 부족하거나 설계가 부적절한 경우 저감효과가 미흡 2. 고농도로 오염된 강우유출수나 침전물이 과다한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데에는 부적절 3. 토양층 내에서 처리되지 않은 오염물질에 의해 지하수 오염 유발 가능 4. 대규모 배수지역에는 부적합 |
침투도랑 |
1. 침투도랑은 월류빈도를 감소시키기 위 해 강우유출수 배제 시스템의 설계에 포함가능 2. 자연적 배수시스템 이용 가능 3. 관리빈도가 비교적 적은편임 4. 공간이 제한된 지역에서 사용가능 5. 유지관리가 용이 |
1. 토질조사 등의 기초현황조사가 부족하거나 설계가 부적절한 경우 저감효과가 미흡 2. 고농도로 오염된 강우유출수나 침전물이 과다한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데에는 부적절 3. 토양층 내에서 처리되지 않은 오염물질에의해 지하수 오염 유발 가능 4. 침전물에 의한 막힘 우려 있음 |
식생여과대 |
1. 강우에너지로부터 토양을 보호함으 로써 토양침식 감소 2. 지표면 유수속도 감소, 집수시간 증 가, 침투증가에 의해 강우유출수량 감소 3. 유속이 감소됨에 따른 여과, 흡수 그 리고 중력침전으로 부유성 침전물 제거 4. 자연환경개선에도 효과 |
1. 저장과 침투기능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수 질개선 미흡 2. 오염물질 제거에 필요한 이상적인 환경이유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함 3. 식생관리가 필요 4.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최소너비가 요하므로 일정규모 이상의 토지가 필요함 |
식생수로 |
1. 강우에너지로부터 토양을 보호함으 로써 토양침식 감소 2. 유수속도 감소, 침투증가에 의해 강 우유출수량 감소 |
1. 저장과 침투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수질개선 효과 미흡 2. 오염물질 제거에 필요한 이상적인 환경이 유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함 3. 경사가 급한 장소에는 적용이 어려움 4. 집중호우 시 유실 가능성 큼 |
여과형 |
1. 부유성 고형물과 고형물에 부착된 오
|
1. 대규모 배수지역에서는 부적합 2. 정기적인 여재 교체가 필요 3. 유입부에 전처리시설(침전) 필요 4. 불투수성 지역에서 적용 5. 토사 등이 다량 배출되는 공사현장· 농촌· 산지 등에는 바람직하지 않음 |
스크린형 |
1. 소용량 및 대용량 적용가능 2. 유지관리용이 3. SS 제거 가능 |
1.용존성 물질제거가가 곤란 하므로 처리항목이 제한적임 2. 수처리효과는 미흡 |
와류형 | 1. 대규모 유량처리가능 2. 침전물과 부유물을 분리처리가능 |
1. 용존성 물질제거 곤란 2. 유량변동 시 제거 효과가 미흡하여 유량조절장치용 부대시설이 필요할 수 있음 |
변경신고 대상 | |||||||||
| |||||||||
변경신고 시기 | |||||||||
| |||||||||
변경신고 방법 | |||||||||
|
개발사업 | ||||
| ||||
벌칙 | ||||
| ||||
과태료 | ||||
|
[출처] 환경부 홈페이지
비점오염원/원심분리기 더 자세히 알아보기 홈페이지!
유수분리기/오일스키머 더 자세히 알아보기 홈페이지!
본사 전화번호 :02-861-7771 , mail문의 : sepa@separator.co.kr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345-90 한라시그마벨리1301호
'Plant P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해위험방지계획 심사기준 (0) | 2014.01.10 |
---|---|
ASME Codes (0) | 2013.05.20 |
[스크랩] 현장운영 절차(現場 運營 節次) (0) | 2012.10.08 |
[스크랩] 건설현장인들이 꼭 가슴에 새겨야 할 30조언 (0) | 2012.10.08 |
[스크랩] [인증] 제조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은 이렇게! (0) | 201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