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03/31 20:06
http://blog.naver.com/wonyeong5/50108395916
LN |
약어 |
제품 |
물질 |
재료 성질 |
사용처 |
1 |
M.C |
Monomer |
열 |
반응촉매가 혼합된 나이론 모노머(카프로 락탐) |
각종 산업용 롤러류, SHEAVE, |
2 |
PTFE |
PolyTetra |
내열,내한,내약품성,저마찰성,비점착성, |
반도체산업의 내 약품 | |
3 |
POM |
Polyacetal |
열 |
높은결정성의고분자,기계적강도,내마모성우수 |
낮은 가격에 금속자료와 |
4 |
연질PVC |
|
열 |
우수한 투명성 내 약품성 내구성 뛰어남 |
도금탱크,화학 공업용 |
5 |
UHMW |
Ultra High |
분자량350만 이상의 PE,열가성중 |
콘베이어기계,가이드레일, | |
6 |
ABS |
Acrylonitrile |
열 |
ABS는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부타디엔(butadiene), 스틸렌, 충전재(充塡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의 배합으로 특성이 매우 변화한다. 도금(鍍金)도 가능하여 메탈라이즈드 플라스틱으로서 용도가 확산되고 있다 |
전기용품,문구,완구 인테리어,모니터, |
7 |
PU |
Poly |
|
일명 스폰지 라고 하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제품 |
계란판 (프로파일),직물마감재, |
8 |
PEEK |
Polyther |
|
압출성형 소재 |
전기 전자분야,항공우주분야 |
9 |
PVC |
PolyVinyl |
열 |
염소 및 아세치렌의 합성애의해 얻을 수 있는 |
|
10 |
PE |
Polyethylene |
열 |
플라스틱 중에서 최 경량이며 염가인 재료 |
공업용에서 일용잡화에 이르기까지 |
11 |
PP |
|
열 |
대표적인 범용수지로 결정성,내열성,기계적 |
화공약품 탱크,각종닥터,각종 |
12 |
PC |
Polycarbo |
열 |
판유리에 비해 250배 충격성이 강한 소재. |
광학관련(콤팩트 디스크,광섬유), |
13 |
ACRYLIC |
ACRYLIC |
|
광 투과율이 90%이상 ,내 약품성 양호, |
각종 간판,명판,수족관등의 |
14 |
PAI |
Polyamide |
|
극한 조건 500˚F(260˚C) 사용 가능, |
밸브판,임팰러,터미널 스트라이프 |
15 |
PEI |
Polyethyl |
|
비정성의 고성능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
폭 넓은 주파수 영역,온도 영역에서 |
16 |
PI |
|
|
초 고성능 플라스틱 중에서도 궁극의 내열성을 |
전기,전자,자동차 부품,QA기기부품, |
17 |
PBT |
Poly butylene |
열 |
내열성 기계강도,내 마모성,내 약품성,양호 |
전기,전자,자동차 부품,QA기기부품, |
18 |
66N |
Polyamide |
|
폴리아미드중에서 결정 화도가 높고 각종 물성의 |
화섬 특유의 광택을 없애주는 소광제(消光劑)인 이산화티탄(TiO2)이 다량 함유돼 자외선을 차단하고 내구성과 안정성이 뛰어나 주로 고급 의류에 사용된다 |
19 |
PPO |
polyphehylene |
비변성 PPO 수지 노닐의 주 원료인 |
전기,전자,자동차 부품,QA기기부품, | |
20 |
EP |
Epoxy Resin |
열 |
분자 중에 둘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고 |
골프샤프트 · 낚싯대 등에서 도로포장, |
21 |
페놀수지 |
Phenolic |
열 |
페놀류와 포름알데히드류의 축합에 의해서 생기는 열경화성(熱硬化性) 수지이다. 로진과 비슷한데, 사용되는 페놀류는 석탄산이 주가 된다.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촉매에 따라 노볼락과 레졸을 각각 얻는데, 전자는 건식법으로 후자는 습식법으로 경화된다 |
절연판이나 접착제 등으로 사용된다. |
22 |
PUR |
Pplyurethane |
열 |
우레탄 결합을 주요 구성 요소로 가지는 사슬 |
탄성 섬유ㆍ도료ㆍ접착제 |
23 |
UF |
Urea |
열 |
요소와 알데하이드류(주로 폼알데하이드)의 |
종이 가공용인 경우에는 제1차 수지 |
24 |
PETG |
Polyethylene |
<화학> 다가(多價) 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
내약품성, 내열성이 뛰어나서 가구 |
열경화성수지 [熱硬化性樹脂, thermosetting resin] 열을 가하여 경화 성형하면 다시 열을 가해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수지로 일반적으로 내열성, 내용제성,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전기절연성이 좋다.
충전제를 넣어 강인한 성형물을 만들 수 있으며 고강도 섬유와 조합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열을 가하여 성형한 뒤에도 다시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수지로 압출성형·사출성형에 의해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내열성·내용제성은 열경화성수지에 비해 약한 편이다. 종류에는 결정성과 비결정성이 있다. |
열경화성 수지는 축합중합반응으로 생성되고
열가소성 수지는 첨가중합반응으로 생성됩니다.
열경화성 수지는 그물구조로 되어있어 열에 쉽게 변형 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는 사슬구조로 되어있어서 열에 쉽게 변형이 가능 합니다.
축합중합반응의 단위체는 2개의 작용기가 있고 반응시 물과 같은 간단한 물질이 빠져 나오게 됩니다.
@첨가중합반응의 단위체는 2중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열경화성 수지의 물질 명명법은 대체로 단위체 이름 뒤에 "수지" 를 많이 붙입니다.
열가소성 수지의 물질 명명법은 단위체 이름 앞에 "폴리" 를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름만 봐도 열경화성인지 가소성인지 구분을 할수 있습니다.
창원 마산회원구 봉암동 삼부정밀 권 원 영
약간의 정리 부족한 내용 메일 주세요
감사합니다
'Plant Engineering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면표기 (0) | 2013.09.30 |
---|---|
[스크랩] 품질관련 필수용어 9항목 해설 (0) | 2012.08.12 |
[스크랩] 용접사 자격인정 검정 (WQ) (0) | 2012.08.12 |
[스크랩] PIPE & TUBE 알아 보기 (0) | 2012.08.12 |
[스크랩] 배관설계의 정의 (0) | 201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