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t Project Finance

해외 건설 금융의 구조 / Mezzanine Capital (중간자본금) / 국제채의 종류

나니아지기 2012. 4. 14. 18:20

 - 다음 내용은 건설기술교육원 해외플랜트전문인력양성 교육 Project Finance과목의 최광열 한양대 교수님의 수업내용을 정리한 것 입니다.

 

 

-해외건설금융의 구조

 

1.소요자금(자기자금 또는 차입금)

 1) 시설자금: 프로젝트 건설자금(EPC금액)

 2) 개발비용, 금융비용

 3) 운전자금 : 프로젝트 완공 후 최초 1회전 운전자금

 4) 예비비

 

2.자금조달(금융)

 1) 자기자금

>출자금: 사업주, MDB, Infra Fund, 일반투자자 등에 의해 출자됨

>후순위 대출(Subordinated Loan) : 부채와 자본의 중간의 성격을 띤 중간자본금(Mezzanine Capital)-CB(Convertible Bond:전환사채-채권에서 주식으로 변환가능) , BW(Bond with Warrants:신주인수권부사채-채권에 보증이 포함될 경우 주식으로 변환가능하나 채권은 남은상태로 주식으로 전환됨)등으로 사업주, 금융기관, 기금 등에 의해 제공됨

 2) 차입금

>수출 신용기관(ECA) : OECD협약을 준수하며, 지원대상 거래 및 금액이 정해져 있음

>국제 개발 금융기관: 공식 지원절차를 보유하며 환경문제를 중시한다

>상업 금융기관: 유동성이 풍부하고, 지원 조건 및 절차 관련 융통성이 있다

>현지금융: 사업 시행국 금융기관에서 현지화 하여 조달하며 환율위험에도 불구하고 인건비 기자재 등의 구입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역금융: 지역적 유사 국가 금융기관에서 조달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등)

>이슬람금융: 중동, 말레이시아 등에서 활발(이슬람 채권-수쿠쿠)

>인프라펀드: MDB등 개도국 펀드 운영에 참가

>국제채: 기채자가 해외에서 외국통화로 채권발행(사무라이 본드, 양키본드 등)

 

-Mezzanine Capital (CB-전환사채, BW-신규인수권부사채)

 1.장점

  >고정금리로, 장기 무담보 차입이 가능(Fixed rate, Long-term, Unsecured)

  >Debt to Equity ratio 결정시 Equity로 간주한다

  >원리금 상환일정과 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Equity(일반적으로 주식)보다 시장 유동성이 풍부하다

  >지급이자로 간주되어 절세 효과가 있다(CB, BW의 이자가 세금에서 제외됨)

 2.단점

>상대적으로 이자가 높다

>프로젝트 금융구조가 복잡하여 당사자 이해관계 조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대주주 입장에서는 지분이 분산되어 제3자에 배정될 경우 경영상의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국제채의 종류

 1.Yankee Bond: 한국회사(미국 이외 나라)가 미국에서 달러로 발행한 채권

 2.Euro Bond: 한국회사가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 달러로 발행한 채권

 3.아리랑 Bond: 외국사람이 원화로 한국에서 발행한 채권

 4.김치 Bond: 외국사람이 달러로 한국에서 발행한 채권

 5.사무라이 Bond: 비일본인이 일본에서 엔화로 발행한 채권

 6.Euro Bond: 일본 이외의 나라에서 엔화로 발급된 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