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t Project Finance

PF 자금조달 형식 구조 및 방법

나니아지기 2012. 4. 17. 03:22


 - 다음 내용은 건설기술교육원 해외플랜트전문인력양성 교육 Project Finance과목의 최광열 한양대 교수님의 수업내용을 정리한 것 입니다.



-PF자금조달구조



<Fig. 2 – finance framework>

1.공공기관: 도로//발전소 등 : 1+2를 사용하며 2(대출) ECA/MDB/상업은행/현지금융 등의 우선순위로 대출을 받는다

 

2.민간사업: 1+2+3이 쓰이나 IMF이후 2는 거의 쓰이지 않으며 3(채권발행)의 형태로 사업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ABS(Asset-Backed securities- 자산담보부채권), MBS(Mortgage-Backed Security-주택 저당 증권) 등의 형태로 채권을 발행하기도 하고 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부동산투자신탁) 등 의 형태로 주식을 발행하여 재원을 조달하는 형태를 띈다

 

 

-PF 자금 조달 방법

1.사업주로부터의 자금조달

 1)출자금(Equity): 사업주(Sponsor) MDB, Infra Fund, 일반투자자 등이 될 수 있다

 2)후순위 대출(Subordinated Loan): 중간자본금(자본과 부채의 중간)의 성격을 띈 CB(전환사채), BW(신규인수권부사채) 등으로 사업주, 금융기관, 기금 등에 의해 발행됨

 

2.외부기관으로부터의 자금조달

 1)수출신용기관: OECD협약을 준수하며 지원대상 거래 및 금액 조정

>ECA(Export Credit Agengy-수출신용기관)가 자국의 수출촉진이나 고용증대를 목적으로 제공함으로 a tied finance라고 하며 해외 채무자의 지급 불이행 위험을 부담하고 개도국 정부/공기업에 지원하여 Political Risk를 부담함과 동시에 Commercial Risk도 적극 수용하는 형태로 수출이 증진되도록 자금조달을 돕는다.

>지원형태: 대출(Lending), 보증(Guarantee), 보험(Insurance)

>장기 고정금리: CIRR(Commercial Interest Reference Rate-상업참고금리)형태로 개도국 산업설비 도입에 가장 적합하다

>국제규범(OECD협약) 등에 의한 금융조건 규제는 무역 왜곡을 방지한다.

>KEXIM/KSURE, US-EXIM, SACE(이탈리아),JBIC(일본)Government Agency형태로 운영된다

 2)국제개발금융기관: 공식지원절차보유, 투명성, 환경문제 중시

>개도국(회원국)경제, 사회 및 민간분야 지원

+국제개발기관: World Bank Group(IBRD-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국제부흥개발은행, MIGA- Multilateral Investment Guarantee Agency-국제투자보증기구, IFC-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국제금융공사, IDA-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국제개발기구)

+지역개발기관: ADB-Asia Development Bank, AfDB- African Development Bank, laDB-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IDB- Islamic Development Bank, EIB- European Investment Bank

>Political Risk 감소효과

>촉매역할(Catalytic Role): Credit Enhancement(신용증대)효과로 다른 상업은행의 투자를 촉진시킴

>프로젝트 환경영향, 고용창출, 기술이전 효과를 고려하여 평가한다

>지분 출자 시 경영에는 미관여한다

>절차가 복잡하고 장기의 심사기간과 고비용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상업금융기관과 협조융자(Co-financing)

>지원방식: Equity, Loan, Guarantee, Insurance의 형태이다. ECA에서  Equity형태의 지원을 하지 않는 반면 국제개발금융기관은 Equity의 형태로도 지원한다.

 3)상업금융기관

>유동성이 풍부하며, 지원조건 및 절차 관련 높은 융통성이 있다

+대출기간은 국가별로 상이하며 통상 10년 내외이며 중동지역 GCC(Gulf Cooperation Counci-걸프 협력 회의)국가에 대해 20년 지원 사례가 있다.

+변동금리 조건(고정금리 요구 시 스왑 제공)

+최종금액은 제한적이며 위험 분산 차원에서 Syndication을 활용한다.

>신용위험 평가능력을 바탕으로 주로 Commercial Risk부담

+Political Risk 수용 상의 한계로 ECA/MDB PRI(Political Risk Insurance)를 요구한다.

+대규모 사업의 Financial Advisor역할을 수행한다.

 4)현지금융

>사업시행국 현지 금융기관으로부터 조달: 현지 소요비용 일부 및 초기 운전자금, ECA/MDB Local Currency Financing도 가능하다.

>Political Risk감소효과: 현지 유력기관 등과 유대관계를 활용하여 Risk를 줄일 수 있으며 현지 정보 활용의 도구가 된다

>Infrastructure 또는 내수 중심사업의 통화 Gap 해소 효과로 환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상 눈과 귀 역할을 한다.

>금융산업이 취약한 개발도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하여 대규모 자금조달이 어렵고 조달비용이 높다.

>중동지역의 경우 Oil Money를 바탕으로 유동성이 풍부하다(Islamic Finance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