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내용은 건설기술교육원 해외플랜트전문인력양성 교육 Project Finance과목의 최광열 한양대 교수님의 수업내용을 정리한 것 입니다.
-수출신용지원방법
1. Cover Provider: ECA가 Commercial Bank의 채무보증을 서는 형태로 아래 그림의 4번과 4’의 형태이다.
2. Loan Provider: ECA가 직접 Project Company에 대출하는 형태로 2번의 형태이다.
<Fig. 3 – Export Support Finance>
-수출자금
1.종류
1)공급자 신용(Supplier’s Credit-국내 수출업자에 대한 대출): Fig 3의 1번으로 수출물품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제작금융과 수출물품 인도 후 대금 회수 시까지 필요자금을 지원하는 연불금융이 있다.
2)구매자 신용(Buyer’s Credit-외국수입업자에 대한 대출)
>직접대출: Fig 3의 2번 내용으로 우리 상품을 구매하는 외국 수입자 앞 직접 대출
>전대자금대출: 외국 금융기관에 대출하면 우리상품을 구매하는 자국 수입자에게 다시 대출하는 Two-step Loan형태로 이루어지며 3번에 해당한다.
>플랜트, 발전소, 선박 등 대규모 단일 프로젝트 자체 현금흐름을 근거로 대출
2.지원조건 : 상환조건 2년 이상 수출거래로 OECD수출신용 협약에 따라 지원
1)선수금율: 15%이상(선박 20%이상)
2)대출기간: 5년~15년(국가 등급별, 품목별 차등 적용)
3)대출금리: CIRR(고정금리로 국채수익률+1%이다)+대외신용수수료(직대,PF,전대:국가등급, 대출기간별) 또는 신용위험 가산율(연불금융)이다. OECD 협약에 따라 세계 모든 공적수출신용기관이 동일금리를 적용한다.
4)대상품목: 선박, 플랜트, 해외건설 등 대형 자본재로 외화가득률 25%이상인 품목
-수출입은행(KEXIM)의 금융상품
1.대출(수출자금, 해외투자 자금, 수입자금)
>수출자금
1)계약 및 선적단계: 제작금융(수출물품 제작에 필요한 자금지원), 기술제공전 금융 등
2)인도단계: 연불금융(수출물품 인도 후 대금 회수시까지 필요 자금 지원), 기술제공후 금융 등
2.보증
1)채무보증: 수출입금융을 제공하는 국내외 금융기관 앞 보증으로 보증료율을 OECD보증프리미엄을 따른다.
2)이행성 보증: 수출계약 이행 관련 보증으로 보증료율은 기준보증료율에 제 가산율을 더한 형태이다.
'Plant Project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F심사 및 Risk Mitigation (0) | 2012.04.17 |
---|---|
PF 자금조달 형식 구조 및 방법 (0) | 2012.04.17 |
PF 대상 사업 (0) | 2012.04.17 |
PF와 SOC의 민간투자 (0) | 2012.04.17 |
해외 플랜트 PF구조 및 필요성 / 해외 플랜트 PF 동향 / 국내 PF 동향 (0) | 2012.04.14 |